Popular posts from this blog
[MIKA #18] '샌프란시스코 화랑관' 장혜원(돌배) 작가
<이미지 01> 낮에는 애니메이터, 밤에는 웹툰작가. 돌배작가가 애니메이터로 일하고 있는 'Kabam'을 방문하였습니다.
"'샌프란시스코 화랑관(이하 화랑관)'이라는 웹툰 본적있어요?" 오랜만에 만난 후배가 뜬금없는 질문을 한다. 시큰둥한 표정으로 그게 뭐냐고 묻자, 어떻게 샌프란시스코에 살면서 이걸 안봤냐느니, 마치 자기 이야기 같다느니 하면서 열변을 토했다. 후배의 열열한 추천에 넘어간 셈치고 들여다 본 '화랑관'은 어느새 목요일의 낙이 되었고, 자연스럽게 따라온 작가에 대한 궁금증은 인터뷰가 되었다.
Q. 안녕하세요, 돌배 작가님 '화랑관' 매주 잘 보고 있습니다. 어떤 계기로 '화랑관' 이야기를 시작하였나요?
A. 2009년 회사에서는 레이오프 되고, 남자친구와 헤어지는 등 힘든 일들이 한번에 몰려온 시기가 있었습니다. 한국으로 돌아갈까 까지 심각하게 고민하던 중, 운동하는 동안만이라도 고민을 잊어보고자 무턱대고 태권도에 등록였습니다. 그런데 얼떨결에 시작한 태권도가 너무 재밌었고, 태권도를 어렵게 생각하시는 분들을 위해 태권도의 즐거움을 전달하고자 이야기를 쓰기 시작했습니다.
<이미지 02> '화랑관'은 그렇게 돌배작가와 만났다.
Q. 한국에서는 비슷한 종류의 운동해보신 경험이 있었나요?
A. 전혀 없었어요. 심지어 달리기도 하위권이었습니다.
Q. 보통 굳은 마음 먹고 운동을 시작해도, ‘재미'를 못 느끼면 1~2달 안에 관두기 마련인데, 태권도에서는 어떤 ‘재미’를 찾아나요?
A. 지금까지 살아왔던 공간과 다른 느낌이 신기했습니다. 태권도장에 들어서기 전 관장님과 태극기를 향해 인사하고 그 공간에 발을 디딛으면 마음이 경건해지고 같이 수련을 하고 있는 사람들에대한 존경심이 저절로 우려나왔어요. 태권도장 안에만 존재하는 문화가 좋았고, 그 안에 속해서 한단계 한단계 성취해나간다는 점이 기분 좋았습니다.
<이미지 03&g…
"'샌프란시스코 화랑관(이하 화랑관)'이라는 웹툰 본적있어요?" 오랜만에 만난 후배가 뜬금없는 질문을 한다. 시큰둥한 표정으로 그게 뭐냐고 묻자, 어떻게 샌프란시스코에 살면서 이걸 안봤냐느니, 마치 자기 이야기 같다느니 하면서 열변을 토했다. 후배의 열열한 추천에 넘어간 셈치고 들여다 본 '화랑관'은 어느새 목요일의 낙이 되었고, 자연스럽게 따라온 작가에 대한 궁금증은 인터뷰가 되었다.
Q. 안녕하세요, 돌배 작가님 '화랑관' 매주 잘 보고 있습니다. 어떤 계기로 '화랑관' 이야기를 시작하였나요?
A. 2009년 회사에서는 레이오프 되고, 남자친구와 헤어지는 등 힘든 일들이 한번에 몰려온 시기가 있었습니다. 한국으로 돌아갈까 까지 심각하게 고민하던 중, 운동하는 동안만이라도 고민을 잊어보고자 무턱대고 태권도에 등록였습니다. 그런데 얼떨결에 시작한 태권도가 너무 재밌었고, 태권도를 어렵게 생각하시는 분들을 위해 태권도의 즐거움을 전달하고자 이야기를 쓰기 시작했습니다.
<이미지 02> '화랑관'은 그렇게 돌배작가와 만났다.
Q. 한국에서는 비슷한 종류의 운동해보신 경험이 있었나요?
A. 전혀 없었어요. 심지어 달리기도 하위권이었습니다.
Q. 보통 굳은 마음 먹고 운동을 시작해도, ‘재미'를 못 느끼면 1~2달 안에 관두기 마련인데, 태권도에서는 어떤 ‘재미’를 찾아나요?
A. 지금까지 살아왔던 공간과 다른 느낌이 신기했습니다. 태권도장에 들어서기 전 관장님과 태극기를 향해 인사하고 그 공간에 발을 디딛으면 마음이 경건해지고 같이 수련을 하고 있는 사람들에대한 존경심이 저절로 우려나왔어요. 태권도장 안에만 존재하는 문화가 좋았고, 그 안에 속해서 한단계 한단계 성취해나간다는 점이 기분 좋았습니다.
<이미지 03&g…
Ocean of Oblivion (망각의 바다) 2018
Story had been started as a pray for victims from Sewol tragedy, but it ends by dreaming of the end of recurring tragedies. Tragedy will repeat when we forget what we went through before.
세월호의 트라우마와 부채감에서 이야기를 시작했지만, 근본적으로 반복되는 비극의 고리를 같이 끊어 나갔으면 하는 마음으로 영상을 마무리 하였다. 비극은 반복된다. 우리가 비극을 망각하는 순간.
Experiment Animation (실험 애니메이션)
CG/2D Drawing hybrid
Country - Korea, USA
Credit- 참여 스텝
Director- Shaun Seong-young Kim (김성영)
Art- Shaun Seong-young Kim (김성영)
Character Modeling- Pil Gyu Chang (장필규)
Character Rigging- Moonyoung Oh (오문영)
Animation - Soonjae Kwon (권순재), Sungwook Chun (전성욱), Jaehyun Roh (노재현), Hyungjun Jung (정형준), Sungwook Lee (이성욱), Shaun Seong-young Kim (김성영)
Effect & Composite- Shaun Seong-young Kim (김성영)
Music- Rachmaninov 'The Bells of Moscow' (라흐마니노프 ‘모스크바의 종')
세월호의 트라우마와 부채감에서 이야기를 시작했지만, 근본적으로 반복되는 비극의 고리를 같이 끊어 나갔으면 하는 마음으로 영상을 마무리 하였다. 비극은 반복된다. 우리가 비극을 망각하는 순간.
Experiment Animation (실험 애니메이션)
CG/2D Drawing hybrid
Country - Korea, USA
Credit- 참여 스텝
Director- Shaun Seong-young Kim (김성영)
Art- Shaun Seong-young Kim (김성영)
Character Modeling- Pil Gyu Chang (장필규)
Character Rigging- Moonyoung Oh (오문영)
Animation - Soonjae Kwon (권순재), Sungwook Chun (전성욱), Jaehyun Roh (노재현), Hyungjun Jung (정형준), Sungwook Lee (이성욱), Shaun Seong-young Kim (김성영)
Effect & Composite- Shaun Seong-young Kim (김성영)
Music- Rachmaninov 'The Bells of Moscow' (라흐마니노프 ‘모스크바의 종')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