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s

Showing posts with the label 스탑모션

'Marilyn Myller' - 3D print를 통해 확장된 stopmotion의 표현한계

Image
from Parabella Studio 근래 페스티벌에서 선전하는 단편을 보면 지극히 작고 개인적인 감정이나 생각에서 출발한 실험 애니메이션들이 많다. '실험' 애니메이션인 만큼 표현방식도 가지각색이고 이야기를 풀어가는 방식도 자유롭다. 어쩌면 수년간 지속되온 헐리웃의 전형적인 3D 애니메이션들에 대한 반동으로 나타나는 현상 같기도하다.  스탑모션 애니메이션은 시대를 막론하고 주류는 아니였다. 모든 프래임을 손을 만져가며 이미지를 만들어야하니 아날로그의 감성, 즉 손맛은 어떤 미디엄보다 최고지만, 그와 동시에 너무 투박하여 일반 관중들이 부담없이 즐기기는 좀 껄끄럽다고나 할까?  3D Print가 가능한 시대가 오면서 스탑모션이 부드러워졌다. 훨씬 정교한 움직임과 표현도 가능해졌고, 미리 결과물을 예측하거나 수정이 가능해졌다. 하지만 여전히 물리적인 세트에서 실제 라이트와 함께 한 프레임씩 찍는 만큼 특유의 맛깔스러움도 남아있다. 'Marilyn Myller'는 이러한 스탑모션 2.0 기법을 스토리에 잘 녹여서 사용하였다. 실제 빛을 이용해 촬영하면 예상하지 못한 효과를 엊기도 한다 역시 스탑모션은 재밌어 보인다(하지만 업으로 하고 싶진 않다;) 3D Print가 대중화 된지는 오래되지는 않았지만, 극장용 스튜디오 규모에서는 이러한 기법을 3~4년 전 정도 부터 사용해왔다. 라이카의 '파라노먼'과 아드만의 '파이럿'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주로 페이셜 애니메이션을 위해 사용했다 이러한 형태의 3D Printed Stopmotion은 가장 단순한 형태로 1세대 방식이라 할 수 있다. 최근에는 2D 애니메이션의 전유물처럼 분류되었던 몰핑도 3D Printed Stopmotion을 사용하여 세롭게 표현하는 영상도 나오는등 표현방식이 급속도로 확장되어가고 있다. 수년 안에 또 어떠한 표현방식이 나를 즐겁게하고 창작욕을 자극할지 기대된다. ...

[MIKA#07] 손때가 묻어야 살아난다 - 스탑모션 아티스트 김강민

Image
<사진1> 컷아웃 애니메이션의 퍼펫들 <사진2> 38-39 ℃의 퍼펫(Puppet)을 보여주시는 강민님 3D 애니메이션이 상업 애니메이션의 주류를 차지하고 있지만, ‘해적(Aardman Animation Studio)*’, ‘코렐라인(Henry Selrick)*’, ‘파라노먼(Laika Studio)*’, 그리고 ‘프랭킨위니(Tim Burton)*’ 등 요즘에도 스탑모션 애니메이션은 꾸준히 제작되어 오고 있고 사랑 받아오고 있습니다. 디지털 애니메이션보다 많은 시간이 요구되고, 장면을 연출할 때 공간적 제약도 많이 있는 스탑모션을 계속 제작하는 이유는 무엇보다 스탑모션 애니메이션 특유의 ‘손맛’이 주는 매력 때문일 것입니다. 손으로 일일이 캐릭터의 관절을 움직이고 표정을 만들어가며 한 프레임씩 찍는 스탑모션은 불완전함에서 오는 자연스러움이 그 매력입니다. 디지털 시대에 아날로그의 '손맛'을 표현하는 아티스트 김강민님을 만나보았습니다. *Aardman Animation Studio: 치킨런, 월레스엔 그로밋등 특유의 스탑모션 애니메이션을 꾸준히 제작해온 영국의 애니메이션 회사 *Henry Selrick: ‘크리스마스의 악몽’, ‘코렐라인’ 등으로 잘 알려진 디랙터 *Laika Studio: ‘코렐라인’ 제작 회사였고, 최근에는 ‘파라노먼’을 자체 제작하였다. 시에틀에 위치해있다. *Tim Burton: 애니메이션과 영화를 오가며 특유의 영상미를 만들어내는 감독. 애니메이션으로는 ‘유령신부’에 이어 2012년에는 ‘프랭킨위니’을 제작하였다. Q) 처음에 어떻게 스탑모션을 접하게 되셨나요? A) 한국에서 SADI(Samsung Art & Design Institute)에서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을 전공하였습니다. 1학년 전공 수업 중에 철사로 사람 손을 만든다거나 골판지로 독창적인 의자를 디자인 하는 등 수작업이 주를 이루는 수업이 있었습니다. 그 수업의 영향을 받아, 2학...